원래는 노션에 하나하나 논문 읽고 직접 업로드했다. 아래처럼
이런 assistance를 해주는 툴은 사실 노션 외에도 많이 있다는 것을 알고는 있었으나, 새로 배우고 쓰기 귀찮아서 그냥 익숙한 노션에 올려서 썼다. 하지만 갈수록 많아지는 읽어야할 논문들의 양을 보니, 이렇게 수작업했다간 노답이라고 느껴졌다. 아래는 종종 쌓이는 논문지옥이다. 저렇게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의욕이 떨어져서 못본다 (아 안 쌓이는 방법은 있나? 그건 없음. 그냥 열심히 읽어야...)
논문 보는 중에 quote 남기는 것도 귀찮은 일이기도하고, 노션 DB는 폴더구조를 만들 수 없기 때문에 비슷한 카테고리의 논문들을 꺼내보려면 조금 귀찮다. 중간에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정리들을 노션 페이지 안에 적어두는데, 사실 이런 기능들까지도 지원해주는 좋은 툴들이 많다.
퇴사까지 근무시간이 약 8 + 3시간정도 남은 지금, 이미 인수인계도 다 마치고, 서류도 다쓰고, 사인도 다해서 사실 회사에서 굉장히 무료한 상태이다. 이럴 때 Zotero를 배워보면 좋을 것 같아서 한 번 이것저것 담아봤다.
Zotero 홈페이지에 가면 아래처럼 사용 예제가 나온다. 이 때 페이퍼를 등록하는 방식은 다양한데, chrome extension을 통해 버튼 하나로 Zotero에 등록이 가능하다.
하나 등록하려면 저 종이 그림을 눌러서 넣으면 된다. 폴더 구조는 Collection이라는 폴더로 나누는데, 모두 My Library라는 Group 안에 속한다. Group이 한 아이디라고 보면 좋을 듯하다. 나머지는 Collection / Subcollection으로 만들어줄 수 있다.
걍 이런식으로 무지성 집어넣기 하면된다.
처음에는 추가한 날짜순 정렬이 없는 줄 알고 좌절했는데, 알고보니 column을 추가하고 정렬하면 되는 것이었다.
하나의 Article/Post가 여러 collection에 등재될 수 있다보니, drag & drop으로 논문이 옮겨지는 것이 아니라 복사가 되기 때문에, 만약 옮기려고 하거든 원래 있던 Collection에서는 Remove from collection을 따로 눌러줘야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 기능의 경우 옵션을 찾아보면 있을 것도 같다.) 또한 어지간한 포스트들을 로컬에 저장하다보니 용량을 조금 차지한다. 중간중간 정리할 수 있는 기능이 있는지 찾아봐야겠다 (LRU기반으로 정리를 해준다거나 등). 아직 반도 안넣었는데 170MB나 먹고 있다. 이런...
죄다 다운로드하는거는 아래 기능으로 조절할 수 있을듯
Highlighting
아래처럼 필요한 문구들을 표시해서 남길 수 있다.
잉여시간 떼우기 최고
'_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Avengers Assemble! Notion API + Kakao API +Github Actions. (0) | 2022.05.11 |
---|---|
os.path.join (0) | 2022.05.10 |